-
삼신(三神) 할머니 1
삼신(三神) - 1 삼신할머니는 우리 민족의 지킴이3월 3일을 삼짇날(三眞)이라 한다. 삼진이란 사람이 태어나면서 삼신으로부터 받은 세 가지, 성(性) ․ 명(命) ․ 정(精)을 말한다. 삼신이 생명을 점지해 주어야 창조의 힘을 가진 여성이 임신하게 된다는 우리 민족의 믿음은 곧 인간의 탄생은 반드시 삼신이 주관하는 것으로 생각했다. 우리말에 아기의 ‘태(胎)’를 삼이라고도 하고 탯줄을 삼줄이라고 부르기도 하는 것은 바로 삼신으로부터 새 생명이 태어나기 때문이라 생각한다.삼신은 곧 우주를 창조하고 만물을 만드신 하나님이기 때문이다. 이 말은 삼신할머니가 최초로 인간을 창조하신 분이라는 말과 통한다. 삼신을 모시는 방법으로 삼신의 신체(神體)는 대체로 삼신바가지, 삼신단지, 삼신주머니, 제석항아리 등의 형태로 나타난다. 이들 용기 안에 쌀을 담고 바깥에 흰 실타래를 두르고 안에 든 쌀은 가을에 햇곡이 나면 갈아준다. 불교에서는 생산을 담당하는 곡령(穀靈)의 신이 되었다. 삼신상은 상에 차리는 것이 보통이지만 짚을 깔고 그 위에 진설하기도 한다.이때 짚은 출산을 앞둔 부녀자가 있을 때 깨끗한 짚을 미리 마련하여 안방 시렁 위나 방문 위에 미리 매달아 두었다 사용한다. 짚을 사용하는 이유는 볏짚이 가진 생산성과 순산을 기원하는 의미다. 산모가 순산하고 나면 문 위에 볏짚을 매달았는데, 이 풍습은 왕실의 풍습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 짚을 삼신짚이라고 하는데 불임여성은 이 볏짚을 훔쳐다가 임신을 기원하기도 한다. 예수의 탄생이 마구간이라는 것도 짚과 관련이 있다. 삼신상은 아기를 출산할 때나 백일 · 돌 등에 차리는 데 상위에 메와 미역국 청수 그리고 실타래를 올려 둔다.삼신상에는 숟가락과 젓가락을 올리지 않는다. 그리고 삼신상에 올린 메는 모두 산모가 먹어야 한다. 이 삼신메는 수태가 가능한 젊은 여자는 절대 먹이지 않는다. 삼신은 다른 말로 삼신상제(三神上帝) · 삼신제왕(三神帝王) 〮삼신제
우오 일반3 1 82025. 02. 06
-
입춘의 의미와 세시풍속
立春은 일 년 중 24절기의 첫 번째 절기로 이날부터 봄이 시작된다고 한다.立春이라 할 때 세울‘立’을 사용하는 이유는 봄이 온다는 뜻이 아니라 봄을 바로 세운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즉 양의 기운을 바로 세운다고 하여 #입춘 전후로 설날이 있는 것이다.설날은 양의 기운을 바로 세우며 조상에게 봄이 왔음을 알리는 날이다. #역학에서는 이날이 지나야 새해로 보는데, 입춘은 정월 첫 번째 드는 절기지만, 섣달에 들기도 하는데 이럴 때는 재봉춘再逢春이라 한다.입춘 전날은 사철의 마지막 날이라 하여 #절분節分이라고 부르는데, 콩을 방이나 문에 뿌려서 귀신을 쫓아내고 새해를 맞이하였다.이날 #일본에서는 나이 숫자만큼 콩을 먹으며 “복은 들어오고 귀신은 나가라(福を明らかに来て鬼は出て行け)”고 주문을 외우며 일 년 중 나쁜 기운이 들어오는 것을 예방한다.옛날 #중국에서는 입춘기간을 3등분하여 첫 5일은 동풍이 불어서 땅을 녹이고, 두 번째 5일은 동면하던 벌레가 움직이기 시작하고, 세 번째 5일은 물고기가 얼음 밑에 돌아다닌다고 하였다.입춘 날에는 #춘축春祝을 붙이는데 보통 #대련 중에 <立春大吉 建陽多慶>을 많이 사용하였다.이 춘축은 대궐에서는 춘첩자라고 하여 승정원에서 글을 붙였는데, 지금의 춘련이 여기서 비롯되었다.관상감에서는 주사로 벽사문을 써서 대궐에 올리면 대궐에서는 그것을 #문설주에 붙였다. 이것은 나례儺禮의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어염집의 기둥이나 문설주에는 두루 #대련對聯을 많이 쓴다.이 춘축은 상중에 있는 집은 붙이지 않는다.<제주도 입춘굿>입춘 날은 #맥근점麥根占이라고 하여 #보리 뿌리로 점을 치기도 하였는데, 보리 뿌리가 세 갈래면 #풍년이 들고, 두 갈래면 평년작, 한 갈래면 흉년이 든다고 하였다.이날에는 각 관청마다 입춘맞이 #굿을 하였는데 일제 말까지 성행하였다.현제는 #제주도에서만 입춘마지 굿을 하고 있다. 주로 굿 내용은 일 년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굿으로 농기구와 목우木牛를 등장시키며 광대와 걸쭉하게 한판 놀
우오 일반4 2 62025. 02. 04
-
홍수막이와 창부거리의 시작
치수의 달인으로 용왕이 된 부루태자 창수사자부루(蒼水使者夫婁)에서 비롯된 창부거리용왕은 북극 수정자의 아들 부루태자 새해를 맞이하면 정월 보름까지는 신도들의 일 년 무탈을 기원하는 홍수막이를 지낸다. 하지만 홍수막이의 유래에 대하여 아는 무당은 거의 없다. <태백일사/삼환관경본기>를 보면,중국 순임금 때 황하의 9년 홍수를 다스리지 못해 조선의 부루태자에게 치수의 비법을 배우기 위하여 우사공(虞司空/훗날 禹임금)을 보냈다.이때 부루태자가 우사공에 이르기를, ‘나는 북극 수정의 아들(水精子)’이라고 하였다. 수정자의 주신(主神)은 삼신상제(三神上帝)이다. 삼신상제는 조선의 주신(主神)이자 우리 민족의 주신이다. ‘수정’은 물의 근원이다. 그러니 물의 근원이 되는 분의 아들이라는 말이다. 이는 부루태자가 하늘의 용왕을 대신한다고 스스로 말함으로써 땅 위 물을 다스리는 용왕의 역할을 자처한 것이다. 단군왕검은 용이 물을 다스리듯 부루태자가 물을 다스릴 수 있다고 하여 창수사자부루(蒼水使者夫婁)로 불렀다. 창수사자는 푸른 물을 다스리는 사람, 즉 용왕의 대리자란 뜻이다. 그리고 창수사자부루를 줄여서 창부(蒼夫)라 부르는 것이다. 우사공에게 홍수를 막는 비결인 오행치수법을 기록한 금간옥첩(金簡玉牒)과 물의 깊이를 알 수 있는 신침과 물을 진압할 수 있는 황거종(皇鉅宗)을 주어 홍수를 막게 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귀국길에 닥칠 온갖 고통과 위험을 극복할 수 있는 비결로 천부왕인을 주었다. ‘천부왕인을 패용하면 능히 험준한 곳을 다녀도 위험이 없을 것이며 흉한 일을 만나도 피해가 없을 것이다. 그러니 무사히 너희 나라로 돌아갈 수 있다고 하였다. 부루태자는 물만 마음대로 다스린 것이 아니라 천부왕인을 이용하여 인간에게 닥치는 모든 액을 막고 복되게 하므로 그때부터 ‘홍수막이’란 말이 생겨났고, 지금도 정월이면 단골들의 일 년 액운을 막아 주는 것을 ‘홍수매기’라고 한다.부루태자가 가진 천부왕인이
우오 일반1 1 82025. 01. 13
-
무당의 입 방아질
12.3 비상계엄 후 대한민국의 모든 것은 곤두박질쳤다. 계엄 관련자들은 대부분 구속되고 수많은 별들이 똥별이 되어 떨어졌다. 그 와중에 별이 되고 싶어 날개 짓하는 무당이 있어 안타깝다. 유튜브에 윤석열 사주를 풀이하여 계엄사태를 미리 예견했다는 것은 애교로 봐줄 수 있다.그러나 어느 무당은 전 정보사령관 노상원이 자주 찾아와 나눈 대화를 모 방송국과 자세히 인터뷰하였다. 지난 대선 때 인천의 어느 무당이 김건희 여사와 전화상담한 내용을 녹음하여 김의겸 의원의 유튜브 및 시사보도 방송에 등장한 적도 있었다.대한민국 모든 분야에서 계엄의 그림자를 지우고자 안간힘을 쓰고 있는 암울한 시기에 이런 행태는 분노하지 않을 수 없었다. 지난 대선 때와 같이 이 무당 역시 노상원과의 상담을 기회로 유명세를 타고 싶다는 얄팍한 속내를 드러내었다고 생각한다. 이런 부적절한 행동은 무당들의 무지와 과시욕, 그리고 탐욕에서 비롯된 것이다. 자신의 행동이 얼마나 부적절하고 무교에 끼치는 파문은 생각하지 않는 이기적인 처사다.무교인도 엄연히 사제라고 할 수 있다. 신부는 고해성사의 내용을 지키기 위하여 목숨까지도 내어 준다. 왜 목숨까지도 버리면서 고해성사를 지킬까? 그것은 종교적인 신념과 신부로서의 의무감, 그리고 자긍심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만약 신부가 고해성사 내용을 특정인에게 흘린다면 천주교의 믿음은 사라지고 신부는 사회로부터 외면 받을 것이다.형법 제 317조에는 업무상비밀누설 조항이 있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의사, 한의사, 치과의사, 약제사, 약종상, 조산사, 변호사, 변리사, 공인회계사, 공증인, 대서업자나 그 직무상 보조자 또는 차등의 직에 있던 자가 그 직무처리 중 지득한 타인의 비밀을 누설할 때는 3년 이하의 징역이나 금고, 10년 이하의 자격정지 또는 7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고 되어 있다. 그리고 형법 제 149조에는 업무상 비밀과 증언거부를 규정하여 법정에서의 증언일지라도 타인의 비밀을 공개하는 것을 엄격히 제한하고 있다.이 법조
우오 일반1 1 52025. 01. 03
회원정보
아이디 * | |
---|---|
닉네임 * | |
레벨 * | |
가입일 * | |
최근 로그인 * | |
회원점수 * |
작성 댓글 보기